성남, 분당, 용인, 평촌, 산본인근에 위치한 작명으로 유명한 우당작명원장의명리강의
운세감명 순서 중(1) 원국의 격용(格用) 판단 운세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주 원국에서 용신과 기신을 정해야 한다. 대개 대운과 유년에서 희용신(喜用神)이 힘을 얻는 때를 만나면 길로 나타나고, 기구신(忌仇神)이 힘을 얻는 때를 만나면 주로 흉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木火가 희용신이고, 金水가 기·구신(忌·仇神)이라 한다면 운에서 천간으로 甲乙, 丙丁의 木火를, 지지로 寅卯辰, 巳午未의 동남방을 만나면 대체적으로 길하다고 판단하고, 庚辛, 壬癸, 申酉戌, 亥子丑의 金水가 힘을 얻는 때가 되면 대체적으로 흉하게 판단한다. 십간과 십이지지는 일정한 시간의 주기로 매번 우리들의 사주에 영향을 준다. 그렇다고 하면 어떠한 사주라도 희용이 되는 운이나 기신이 되는 운을 한번씩은 만나게 될 것이니 사주 원..
2010. 12. 4.
양평, 이천, 여주, 하남 인근에 있는 작명으로 유명한 우당작명원장의 명리강의.
(질병론)사주명리학에서는 인간의 질병을 음양오행으로 판단한다. 사주와 대운과 유년의 간지 배합관계에서 질병의 발생과 소멸, 및 사망 시기를 알아내게 된다. 질병은 오장육부와 관계된 것으로써, 오장이란 간, 심, 비, 폐, 신을 말하고, 육부란 담, 위, 소장, 대장, 방광, 삼초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간과 쓸개는 동방 木에 해당하고, 심장과 소장은 남방 火에 해당하며, 비(脾)와 위(胃)는 중앙의 土에 해당하고, 폐와 대장은 서방 金에, 신(腎)과 삼초(三焦)는 북방 水에 해당한다. 인체의 오장육부는 오행의 생극제화(生剋制化)와 음양의 조화가 적당하면 무병하고, 음양오행이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한쪽이 지나치게 부족하여 조화를 잃으면 질병이 생긴다. 그러므로 남는 것은 설기(泄氣)하거나 제화(制化)하고 ..
2010.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