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세판단 순서 중
(3) 합형충에 따른 길흉(吉凶)의 변화
천간에 용신이 있는데, 운에서 合하는 경우 용신이 기반(羈絆)된다고 하여 용신이 무력해지는 것으로 본다. 천간의 용신이 沖을 당하는 것 역시 흉으로 본다. 용신이 사주 원국에서 이미 合으로 묶여있는 경우 오히려 운에서 合을 沖하여 풀어주는 것이 좋다.
지지에 용신이 있는 경우, 지지의 성격에 따라 合沖에 따른 희기가 변한다.
子午卯酉에 용신이 있는 경우 合이 되는 자가 운에서 들어오는 경우 대개 원신의 오행을 따르게 되므로 合은 吉로 작용한다. 子午卯酉의 沖은 그 승패가 분명하고 또 그 沖이 강하므로 길흉의 변화가 크다.
寅申巳亥에 용신이 있는 경우는 해당 지장간의 우선순위를 제대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寅의 경우 木火, 申의 경우 金水, 亥의 경우 水木으로 변하게 되는데, 合으로 만나는 자가 희신으로 변하는 경우는 길로 판단하지만 한신으로 변하는 경우는 용신이 한신으로 변한 것으로 보고 일이 지체되며 좀 체로 해결되지 않는 답답한 상황이 되기가 쉽다. 특히 巳火는 주변 상황에 따라 金이 되기도 하고 火가 되기도 하므로 희기가 쉽게 변하는 특성이 있어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辰戌丑未에 용신이 있는 경우, 묘지(庫地)에 용신이 들었다 하여 沖을 해야 용신이 튀어나온다고 하는데, 沖을 만나면 지장간의 용신이 같이 깨어지는 것이니 충을 만난다고 하여 吉하다고 판단해서는 안된다. 沖이 되어 기쁜 경우는 오직 土 자체가 용신이 되는 경우에 한하며, 土가 용신인 경우 火의 강약에 따라 그 희기가 변하는 경우가 많다.
사주 원국과, 대운과 유년에서 만나는 干支와의 合刑沖의 관계에 따라 길흉이 변하는 경우가 많다. 사주 내 용신을 沖하면 주로 흉하게 작용하며, 용신인 것과 대운과 유년의 간지가 刑이 되는 것 역시 흉으로 작용하기 쉽다.
반대로 기신을 沖하면 기신에 억눌려 있던 용신이 힘을 얻게 되니 길로서 작용하며, 기신이 合하여 다시 기신이 되어오면 주변에서 용신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니 서서히 상황이 악화된다.
사주 원국에 이미 沖이 되어 있는 경우는 運에서 合을 만나 沖을 해소해 주는 것이 좋다. 沖을 合으로 해소하는 오행은 둘로 상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오행의 희용에 관계없이 큰 탈 없이 평안하게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운에서 合刑沖을 만날 때 대개 合이 우선이고 生이 그 다음이며, 沖은 제일 마지막으로 보는 것이 옳다. 만물이 서로 대립할 때 상생과 화해를 우선으로 하지, 무조건 전쟁을 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대개 沖이 되는 것은 중간에 화해를 해줄 자가 없을 때 일어나게 된다.
운에서 만나게 되는 合刑沖은 사주의 年, 月, 日, 時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年이 合을 만나고 月이 沖을 만나는 것은 年의 合이 月의 沖을 구제할 수 있지만, 年이 沖을 만나고 月이 合을 만나는 것은 年의 沖이 우선이 된다. 대개 용신은 日時에 있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이는 운에서 직접 沖剋을 당하는 경우가 적기 때문이다.
운에서 沖을 만날 때 沖해 오는 자가 기신이면 아무리 중간에서 화해가 되더라도 흉한 것은 사실이다. 다만 중간에 生이 있어 화해가 되면 沖의 격렬함이 덜어진다는 것이지, 기신의 작용까지 없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용신을 沖하는 것을 화해시키지 못하면 위급한 禍가 생긴다고 보면 큰 무리가 없다.
'작명가우당의명리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천, 김포, 화성, 성남 인근에 있는 작명으로 유명한 우당작명원장의 명리강의. (0) | 2010.12.04 |
---|---|
양주, 고양, 구리, 의정부 인근에 위치한 작명으로 유명한 우당작명원장의 명리강의. (0) | 2010.12.04 |
과천, 광명, 의왕, 군포 인근에 위치한 작명으로 유명한 우당작명연구원장의 명리강의 (0) | 2010.12.04 |
성남, 분당, 용인, 평촌, 산본인근에 위치한 작명으로 유명한 우당작명원장의명리강의 (0) | 2010.12.04 |
양평, 이천, 여주, 하남 인근에 있는 작명으로 유명한 우당작명원장의 명리강의. (0) | 2010.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