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명가우당의명리교실

성명학자들이 작명을 하는데 오행을 판단하는 불변의 오행(五行)상극과 오행상극의 해(害)의 불변의 진리

by 작명가 우당 2016. 7. 21.

성명학자들이 작명을 하는데 오행을 판단하는 불변의 오행(五行)상극과 오행상극의 해()의 불변의 진리

 

금극목(金剋木)

쇠는 도끼와 칼이 되어 나무를 다듬고 베거나 자른다.

금능극목 목견금결(金能剋木 木堅金缺)

쇠는 능히 도끼와 칼이 되어 나무를 극하지만 나무가 견고하고 쇠가 약하면 쇠가 부러진다.

다시 말하여 사주에 기운이 너무 강하면 기운으로 당해내지 못한다는 이론입니다.

 

목극토(木剋土)

나무의 뿌리가 땅을 파고 들어가 흙을 부수고 갈아엎는다.

목능극토 토중목절(木能剋土 土重木折)

나무는 능히 흙을 이길 수 있으나 흙이 단단하면 약한 나무의 뿌리는 땅속에 뿌리를 내리지 못한다. 쉽게 말하자면 땅이 너무 단단하면 뿌리가 내리지 못하고 나무는 고사하겠죠.

 

토극수(土剋水)

흙은 물을 빨아들이고, 막아서 흐르지 못하게 한다.

토능극수 수다토류(土能剋水 水多土流)

흙은 능히 물을 극하지만 물이 많으면 흙은 많은 물에 쓸려 떠내려간다.

다시 말하여 물결이 강한 곳을 섣부른 흙으로 맞지 못한다는 것이다. 즉 사주에서 토기운이 매우 강한데 수가 이길 수 없다는 것과 같다.

 

수극화(水剋)

물은 불을 끄게 되니 불이 세력을 잃게 된다.

수능극화 화염수작(水能剋火 火炎水灼)

물은 능히 불을 끌 수 있지만 화염이 강하면 물은 증발하여 사른다. 다시 말하여 물로 불을 끌 수 있으나 불의 세력이 너무 강하면 웬만한 물로서는 불을 제압할 수 없다는 것이다.

 

화극금(화극금)  

불은 능히 쇠를 녹이며 불이아니면 쇠는 어떠한 물건도 되기 어렵다. 

화능극금 금다화식(火能剋金 金多火熄) 

불은 능히 쇠를 녹일수 있지만 쇠가 너무 강하거나 많으면 불이 꺼진다. 다시 말하여 가당치 않는 불 기운으로 강한 쇠기운을 이기지 못하여 오히여 불이 꺼지고  만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