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명가우당의명리교실

과천, 광명, 의왕, 군포 인근에 위치한 작명으로 유명한 우당작명연구원장의 명리강의

작명가 우당 2010. 12. 4. 17:16

운세 감명순서 중

(2)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구별


천간과 지지의 관계는 천간은 지지에 뿌리를 내리고, 지지는 천간에 투간하는 관계로 보면 될 것이다.

지지에 용신이 숨어있는 경우, 운의 천간에 용신을 만나면 그 용신이 투간되어 드러나는 것으로 보고, 천간에 미약한 용신이 있는 경우 운의 지지에서 천간의 뿌리가 되는 지지를 만나면 그 용신이 운의 지지에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것으로 본다.

대개 용신이 천간에 있으면 지지로 용신의 운이 오는 것을 좋아하고, 지지에 용신이 있으면 천간으로 용신의 운이 오는 것을 좋아한다.

반대로 기신이 지지에 숨어 있는데 천간에는 없는 경우, 운에서 기신이 되는 천간을 만난다면 지지에 숨어있던 기신이 천간으로 드러나는 것이므로 은연중에 암시되고 있던 기신의 악작용이 밖으로 드러나게 된다.

대운이나 유년이 甲申, 乙酉 등 운의 천간이 지지에 의해 극을 당하여 약하게 오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주의 원국에 木의 뿌리가 강하게 구성되어 있으면서 천간에 투간되지 못했으면 운에서 투간된 甲乙木이 그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게 된다.

甲乙木이 용신이라 하면 이 운기의 전반 木運은 길하게 작용할 것이고, 甲乙木이 기신이라 하면 이 운기의 전반 木運이 흉하게 작용한다.

대개 천간은 천간끼리, 지지는 지지끼리 영향을 주고받으며, 지지가 천간을, 천간이 지지를 직접 合하고 剋하며 沖하고 生하는 일은 없다고 보아도 좋다. 干支는 한 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지가 合沖을 받으면 바로 위의 천간이 같이 영향을 받아 움직이게 된다.

예를 들어, 甲木을 용신으로 쓰는 사주에서 지지에 인목은 있으나, 천간에 甲木이 투간되지 않았는데, 甲申대운을 만난 경우를 생각해 보자. 지지에 암장된 용신이 천간으로 투간되었으니 좋은 운으로 보아야 할 것인가?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인신 상충하여 원국의 용신 인목이 충격을 받는 것도 문제지만, 申 위의 甲木이 충으로 인해 같이 흔들리는 것 역시 문제가 되는 것이다. 대개 운의 천간에 용신이 있는 경우, 원국이나 유년에서 地沖으로 용신을 흔들어 놓는 경우 흉하게 되는 일이 많다.

www.unsename.com